본문 바로가기

피자오리의 사회복지 자료

사회복지 실천론 생태체계이론 주요개념

생태체계이론은 체계이론과 생태이론이 합성 된 것으로 생태적 체계론, 생태적관점 등과 호환되어 사용됩니다.

주요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소

적소는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 할 수 있는 특정한 장소나 환경 같은 것을 말합니다. 우리는 어떤 환경에서 보다 잘 적응하고 기능하는데 그러한 곳이 적소입니다.

 

2. 수용능력

수용능력은 생태체계 안에 살 수 있는 최대 수를 말합니다. 수용 할 수 있는 한계와 수가 있고 그 수를 초과하게 된다면 생태체계안에서는 혼란이 일어납니다.

 

3. 적응

생태체계이론에서의 적응은 환경의 적절한 결합을 의미합니다. 개인 또는 집단은 여러가지 권리, 욕구, 능력, 등과 개인이나 집단이 처한 문화, 역사적 맥락 속에 존재하는 물리적이고 사회적인 환경이 성질 및 운영상황 사이의 맞물림 상태 즉, 개인의 욕구와 사회적 욕구 사이의 조화와 균형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4. 경쟁

생태학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주요 과정으로서 경쟁을 말하며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 생태체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종은 생존을 위해 경쟁하게 됩니다.

 

5. 전문화

적응의 한 형태로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모든 종은 적응 적이어야 합니다. 전문화는 경쟁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지만 고도로 전문화된 좋은 급변하는 환경의 영향에 더 취약합니다. 일반적으로 전문화는 상대적으로 인정되어있는 환경에서 생존력을 향상시키지만 급변하는 환경에서는 생존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6. 공생

공생은 하나 혹은 둘 모두가 유익을 얻는 두 종 간의 빈번한 상호작용을 말합니다. 세 가지의 공생유형이 있는데 생리공생은 벌과 꽃과의 관계처럼 두 종 모두 이득이 되는 상호작용을 말하며 편리공생은 한종에게 유익이 되거나 다른 종에게는 유익이나 해를 끼치지않는 것을 말합니다. 기생은 한쪽에게는 해가 되나 기생하는 종에게는 이익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기생충이 그 예가 됩니다.

 

생태체계이론은 상황과 환경의 맥락속에서 인간 그리고 인간과 환경의 호혜적 상호작용과 교류, 진화적 변화로서의 발달, 개인과 환경의 적합성, 적응과 같은 개념들을 사회복지실천에서 고려하고 적용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특히나 '환경속의 인간' 이라는 맥락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욕구와 문제 혹은 환경 자체의 산물이 아니라 상호교환의 산물로 보게하고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를 상호연계 속에서 이해 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을 뒷받침하는 주요 개념틀이자 관점으로 평가됩니다.

 

우리는 환경속의 인간 개념을 이해 할 수 있는 실제 삶의 현상 사례를 생각해보고 체계이론, 생태체계 이론 등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과 필요성 여부에 대해 이해해야합니다.

브론체브레너는 인간발달과정을 분석하는 가운데 체계론적 관점을 확대하여 생태체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꼬, 이 용어는 저메인과지터맨이 생활모델이라는 사회복지실천모델을 제시하는 가운데 생태체계모델을 도입하면서 사회복지실천에 자리잡게 되었습니다.